본문 바로가기
일상 정보

인플레이션 VS 디플레이션 VS 스태그플레이션

by 움직이는 벤쳐기업 2022. 7. 20.

 

 

 

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인플레이션이라고 하는것은 물가는 오르고 돈의 가치는 떨어지는 것이다.

통화량이 팽창하고 상당기간에 걸쳐 물가가 올라 상대적으로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을 가리키는 경제용어이다.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수요 인플레이션

수요는 늘어나는데 그것에 맞추어 공갑량이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나는 인플레이션

가계에 돈이 많아지면 소비가 늘어나는데 그만큼 물건 공급이 되지 않을 경우 발생

이를 과잉 유동성 공급이라고 한다.

 

2. 비용 인플레이션

제품의 생산비용이 오르면 제품 가격도 함께 올라 전반적인 불가가 모두 올르게 된다

 

3. 단순한 수요의 이동이나 공공요금의 인상, 저생산성으로 인한 공급의 부족 등도 인플레이션의 원인이다.

 

 

디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디플레이션이라고 하는 것은 경제 저난적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물가수준이 하락하는 상황으로 인플레이션율이 0% 이하이면 디플레이션이다. 

 

디플레이션 하에서는 주가는 하락하고 부동산의 가격도 하락한다.

현금이나 현금에 준하는 자산이나 안전한 채권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하다.

채무자의 채무액 실질가치가 증가하기 때문에 디플레이션은 채무자의 적이다.

 

디플레이션은 소비자들에게 좋은 소식이다.

물가가 떨어지면 어렵던 살림이 펴지고 여유가 생긴다.

디플레이션은 원자재 가격과 임금도 하락함을 의미하기 때문에 기업의 생산비용도 낮아진다.

따라서 기업이 생산한 상품의 가격을 낮추어도 기업의 이윤이 반드시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기업이 상품의 가격을 낮추었어도 돈의 가치가 올라갔으니 손해가 아닌 것이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스태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경기 침체를 의미하는 스태그네이션과 물가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의 합성어

경기는 침체하고 있는데 반대로 물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인플레이션의 경우 경기가 성장하게 되는데

물가가 하락하게 되는 디플레이션 현상의 경우 경기가 하락하게 된다

 

그에 반해 스태그플레이션의 경우

경기는 하락하는데 오일 쇼크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해서 물가가 상승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런 경우 실업과 저소득으로 고통 받고 물가까지 치솟게 되어 더욱 심각한 상황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하고 얼마나 심각한 것인지 대비하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반응형

'일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플릭스 영화 추천! 시간 순삭 BEST 5 추천  (0) 2024.03.16